2025년부터 모든 20~49세 남녀 대상 가임력 검사비 지원 확대
보건복지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의 대상을 기존의 임신 준비 부부에서 모든 20~49세 남녀로 확대하고, 검사 지원 횟수를 최대 3회까지 늘린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생식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난임 예방과 건강한 임신·출산을 돕기 위해 시행됩니다.
가임력 검사비 지원사업 주요 변경 사항
1. 지원 대상 확대
- 기존: 임신 준비 부부(사실혼·예비부부 포함)
- 변경: 모든 20~49세 남녀
- 결혼 여부 및 자녀 수와 관계없이 지원
- 미혼자도 포함
2. 지원 횟수 확대
- 기존: 생애 1회
- 변경: 생애 최대 3회
- 연령대별로 나누어 주기별 1회 지원
주기별 세부 지원 내용:
연령대 | 주기 | 지원 횟수 |
---|---|---|
20~29세 | 제1주기 | 1회 |
30~34세 | 제2주기 | 1회 |
35~49세 | 제3주기 | 1회 |
검사 항목과 지원 금액
여성:
- 난소기능검사(AMH): 가임력을 평가하는 난소 나이 검사
- 부인과 초음파: 자궁과 난소의 건강 상태 확인
- 지원 금액: 약 13만 원 환급
남성:
- 정액검사: 정자의 건강 상태와 생식 능력 확인
- 지원 금액: 약 5만 원 환급
신청 및 진행 절차
1. 검사 신청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또는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에서 신청 가능
- 국가건강검진 시 연계 검사를 받을 수 있는 21개 건강검진기관에서도 편리하게 이용 가능
2. 검사 및 비용 환급
- 지정된 사업 참여 의료기관에서 검사 진행
- 검사비는 선지불 후 보건소에서 환급 신청 가능
사업 확대의 기대 효과
- 생식 건강관리 기회 확대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생식 건강을 주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난임 예방 및 조기 대처
주기별 검사를 통해 난임 가능성을 조기에 파악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검사 편의성 향상
건강검진기관과의 연계로 더 간편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사업 참여 의료기관 안내
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전국적으로 확대되며, 서울시를 포함한 17개 시·도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의료기관 명단은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e-health.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 가임력 검사 지원, 가임력 검사 미혼자 포함, 가임력 검사비
결론
2025년부터 확대되는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모든 20~49세 남녀가 생애 주기별로 가임력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며, 건강한 임신·출산을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나이에 맞는 정기적인 건강 검진으로 자신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히 관리해 보세요.
2025 가임력 검사 지원, 가임력 검사 미혼자 포함, 가임력 검사비
2025 가임력 검사 지원, 가임력 검사 미혼자 포함, 가임력 검사비
가임력 검사 지원 FAQ
Q. 가임력 검사 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주소지 관할 보건소 또는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에서 신청 후 지정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Q. 미혼자도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A. 네,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20~49세 남녀가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Q. 검사 비용은 어떻게 환급받을 수 있나요?
A. 검사 후 의료기관에서 받은 영수증과 필요한 서류를 보건소에 제출하면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